ISO/IEC 27001 vs GDPR vs CCPA 비교

ISO/IEC 27001 vs GDPR vs CCPA 데이터 관리 인증 차이점을 비교해 드립니다.
yuringpower's avatar
Aug 14, 2025
ISO/IEC 27001 vs GDPR vs CCPA 비교
  • 글로벌 시장에서 사업을 하는 기업이라면 데이터 보호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닙니다.

  •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규제에 대해 비교해 드릴게요.

ISO/IEC 27001 vs GDPR vs CCPA : 공통점과 차이점

  • ISO는 국제 표준 정보보호 관리체계이지만, 법적 의무사항이 아니고 자체 벌금이 없습니다. GDPR은 EU 개인정보 보호 법률로 법적 의무 사항이고, 위반 시 과징금이 발생합니다. CCPA는 미국 캘리포니아 개인정보 보호법으로 의무사항이고, 위반 시 과징금이 있습니다.

  • 참고사항으로 미국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이라면 SOC 2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SOC 2는 System and Organization Controls 2의 약자로, 미국 공인회계사협회(AICPA) 제정한 서비스 조직 보안, 개인정보 보호 평가 보고서 기준입니다. 주로 클라우드, SaaS 기업이 고객 데이터 보호, 운영 신뢰성 증명하기 위해 획득합니다.

구분

ISO/IEC 27001

GDPR

CCPA

SOC 2

성격

국제 정보보호 관리체계 표준 (인증)

EU 개인정보 보호 법률

미국 캘리포니아 개인정보 보호법

미국 표준 기반 서비스 조직 통제 보고서

제정 기관

ISO / IEC

EU

캘리포니아 주 의회

AICPA(미국 공인회계사협회)

목적

정보자산의 기밀성·무결성·가용성 확보

EU 거주자의 개인정보·프라이버시 보호

캘리포니아 거주자의 개인정보 권리 강화

서비스 조직의 보안·운영 신뢰성·프라이버시 증명

적용 범위

모든 산업·조직 (선택적)

EU 거주자 개인정보 처리 기업

캘리포니아 거주자 개인정보 처리 기업

클라우드·SaaS·BPO 등 서비스 제공 기업

법적 구속력

없음 (계약·입찰 시 요구 가능)

강제 적용 (위반 시 과징금)

강제 적용 (위반 시 벌금)

없음 (거래 조건·신뢰 확보용)

벌칙

없음

최대 전 세계 매출 4% 또는 2천만 유로

위반당 최대 7,500달러 (고의 위반 시)

없음 (보고서 부재 시 신뢰·거래 기회 상실)

초점 데이터

모든 정보자산(개인정보 포함)

개인정보(PII)

개인정보(PII)

개인정보 포함 서비스 운영 데이터

주요 요구사항

위험평가, 보안정책, 접근통제, 사고 대응

개인정보 처리 원칙, 정보주체 권리, 침해 통지(72시

  • ISO 27001정보보호 관리체계의 기반을 잡는 국제 표준 (모든 산업 적용 가능)

  • GDPR / CCPA →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률 준수 의무 (각각 EU, 캘리포니아 시장 필수)

  • SOC 2미국 SaaS·클라우드 시장에서 신뢰를 보장하는 감사 보고서

문서·관리 절차 상 겹치는 부분

  • 조금 더 들어와서 우리가 궁금한 문서, 관리 절차상 겹치는 부분을 좀 더 깊이 있게 정리해 드릴게요.

  • 스마트하게 진출하고자 하는 비즈니스 로드맵에 맞추어 인증서 획득 로드맵을 함께 준비해야 합니다. 아니면, 판매가 이뤄져도 인증이 안되어 판매를 못하거나, 이중 삼중으로 컨설팅 비용을 들여 인증을 중구난방으로 받게 됩니다.

문서·절차 항목

ISO/IEC 27001

GDPR

CCPA

SOC 2

설명

정보보호 정책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Privacy Policy)

조직의 보안·개인정보 보호 원칙과 절차를 명시

위험평가 보고서

✔ (ISMS Risk Assessment)

✔ (DPIA, 개인정보 영향평가)

△ (필수 아님, 권고)

✔ (Risk Assessment Evidence)

보안·개인정보 위험 식별·평가·대응 계획

접근통제 정책

최소권한, 계정 관리, 접근 승인/회수 절차

침해사고 대응 절차서

✔ (72시간 내 통지 절차)

✔ (합리적 기한 통지 절차)

사고 감지·보고·대응·사후분석 프로세스

로그·감사 기록 관리

✔ (처리활동기록, Processing Log)

✔ (Access Log 권고)

시스템 활동·개인정보 처리 이력·변경 내역

서드파티 계약서(보안·개인정보)

✔ (Vendor Security Requirements)

✔ (DPA 필수)

✔ (Service Provider Contract)

외부 공급망·위탁사 보안/개인정보 요구사항 반영

교육 기록

임직원 보안·개인정보 교육 이수 내역 및 자료

데이터 분류·자산 목록

개인정보 포함 정보자산 식별 및 등급 분류

백업·복구 절차 문서

시스템·데이터 백업 및 재해복구 계획

  • 조금 더 쉬운 예시를 위해 문서를 중복 활용할 수 있는 예시를 전달 드릴게요.

    • 정보보호 정책서 → ISO 27001 심사, SOC 2 감사, GDPR·CCPA 법률 준수 모두 사용 가능

    • 위험평가 보고서 → ISO 위험평가 보고서 형식을 약간 수정하면 GDPR DPIA로 재활용 가능

    • 침해 대응 절차서 → 각 규정별 보고 기한(72시간, 합리적 기간 등)만 다르게 표기하면 동일 프로세스 사용 가능

  • 정리하자면 ISO/IEC 27001, GDPR, CCPA, SOC 2는 데이터 보호 원칙과 절차에서 60~70% 이상 겹칩니다.

  • 초기 구축 시 중복 문서 최소화 전략을 쓰면 인증, 규제, 감사 대응 시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

  • 유링파워에서 4개 규정을 원큐에 준비하고 대응해 보세요.

함께 준비하면 좋은 이유

  • 시간 절약: 중복 문서를 재활용하여 준비 기간 단축

  • 비용 절감: 컨설팅·심사 대비 최대 50% 절감 가능

  • 리스크 감소: 하나의 관리체계로 두 규정 동시 준수

  • 감사 대응 용이: 심사·점검 시 동일 증빙 활용 가능

ISO/IEC 27001과 GDPR은 모두 데이터 보호라는 목표를 공유합니다.
두 규정이 요구하는 문서와 절차는 상당 부분 겹치기 때문에, 유링파워 같은 통합 플랫폼을 활용하면 한 번의 준비로 모두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Share article

AI-powered Intelligent Document Processing for pharma, bio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