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IEC 27701과 GDPR 연계 준비 전략
ISO 27701이란?
ISO 27701은 ISO27001(정보 보호 관리체계)와 ISO 27002(보안 통제 항목) 확장 표준으로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PIMS)> 구축 운영하기 위한 국제 표준입니다.
출시배경: GDPR(유럽 일반 개인정보 보호법)과 전세계 프라이버시 규제 대응하기 위해 2019년 제정
특징: ISO 27001의 보안 관리 기반에 Privacy 영역을 추가
장점: ISO 27701 인증만으로 GDPR 기술적, 조직적 조치 상당 부분 충족 가능
ISO 27701과 GDPR의 연계성
GDPR은 법률, ISO 27701은 표준이지만, 두 체계는 많은 요구사항이 1:1 매핑됩니다.
즉, ISO 27701 인증을 준비하면 GDPR 준수를 위한 기본 문서·절차의 60~70%를 동시에 확보하게 됩니다.
GDPR 요구사항 | ISO 27701 대응 통제 항목 예시 |
---|---|
개인정보 처리 원칙(Art. 5) | 5.2.2 개인정보 처리 정책, 7.2.1 역할과 책임 정의 |
처리 활동 기록(Art. 30) | 7.5.1 처리 활동 기록 문서화 |
개인정보 영향평가(DPIA, Art. 35) | 7.4.6 위험평가 및 프라이버시 영향평가 수행 |
침해 통지(Art. 33~34) | 6.13.1 침해 대응 절차 수립, 보고 프로세스 |
처리자·위탁 계약(Art. 28) | 7.3.1 계약 및 공급망 관리 |
데이터 주체 권리 대응(Art. 12~23) | 7.4.8 정보주체 권리 절차 문서화 |
GDPR ↔ ISO/IEC 27701 요구사항 매핑표 (핵심 항목)
GDPR 조항 | 요구사항 요약 | ISO/IEC 27701 통제 항목(예시) |
---|---|---|
Art. 5 개인정보 처리 원칙 | 적법성, 공정성, 투명성, 목적 제한, 데이터 최소화, 정확성, 보관 제한, 무결성·기밀성 | 5.2.2 개인정보 처리 정책, 7.2.1 역할·책임 정의, 7.4.5 데이터 최소화·정확성 유지 |
Art. 6~7 처리의 법적 근거 및 동의 | 적법한 처리 근거 확보, 동의 절차 관리 | 7.3.2 개인정보 처리 합법성 보장, 7.3.3 동의 관리 절차 |
Art. 12~23 정보주체 권리 | 접근권, 정정권, 삭제권(잊힐 권리), 처리 제한, 이동권, 이의제기권, 자동화된 결정 거부권 | 7.4.8 정보주체 권리 절차 문서화, 7.4.9 자동화 결정 대응 절차 |
Art. 24~25 통제자의 책임·개인정보 보호 설계(Privacy by Design) | 개인정보 보호를 설계·기본값으로 반영 | 5.2.1 PIMS 구축, 7.4.2 Privacy by Design·Default 적용 절차 |
Art. 28 처리자(Processor) 요건 | 위탁처리 계약, 보안 요구사항 포함 | 7.3.1 제3자·위탁 계약 관리, 7.3.4 공급망 보안 요구사항 |
Art. 30 처리 활동 기록(ROPA) | 개인정보 처리 활동 문서화 | 7.5.1 처리 활동 기록 문서화, 7.5.2 갱신 절차 |
Art. 32 보안 조치 | 암호화,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복원력 | 6.9 암호화 관리, 6.10 접근통제, 6.13 침해 대응, 7.4.6 위험평가 |
Art. 33~34 침해 통지 | 감독기관·정보주체에 신속 통보 (72시간) | 6.13.1 침해 대응 절차, 6.13.2 보고 프로세스, 7.4.7 의사소통 계획 |
Art. 35 개인정보 영향평가(DPIA) | 고위험 처리 사전 평가 | 7.4.6 프라이버시 영향평가, 7.4.3 위험관리 통제 |
Art. 39 DPO(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역할 | 준수 모니터링, 교육, 보고 | 7.2.2 개인정보 보호 역할 정의, 7.2.3 교육 및 인식 제고 |
Art. 44~50 국외 이전 | 적정성 결정, 표준계약조항, 예외 조건 | 7.3.5 국외 이전 절차, 7.3.6 규제 준수 검증 절차 |
실무 준비 절차 (단계별)
① 범위 정의(Scoping)
개인정보 범위(Personal Data Inventory): 고객·직원·파트너 데이터를 모두 포함
역할 정의: GDPR 기준 Controller(통제자), Processor(처리자) 여부 명확화
국가별 적용성: GDPR 외 CCPA, PIPL(중국) 등 병행 고려
📌 Tip: 클라우드 SaaS 기업은 AWS, Azure, GCP 등 인프라 공급자까지 Processor로 포함시켜야 함.
② 갭 분석(Gap Analysis)
ISO 27001 보유 기업 → 기존 ISMS 절차에 Privacy 추가 항목만 보완
ISO 27001 미보유 기업 → ISMS + PIMS 동시 구축 (시간·비용 절감 가능)
체크리스트 활용:
개인정보 처리방침 및 내부 정책 존재 여부
처리 활동 기록(Record of Processing Activities) 작성 여부
데이터 주체 권리 대응 절차 존재 여부
DPIA 수행 및 보고 체계
침해 대응(Incident Response) 계획 및 72시간 보고 절차
③ 정책·절차 문서화
ISO 27701 & GDPR 공통 필수 문서 예시:
개인정보 처리 정책서
개인정보 흐름도(Data Flow Mapping)
처리 활동 기록(ROPA)
DPIA 보고서
침해 대응 매뉴얼
서드파티 DPA(위탁 계약서)
데이터 주체 권리 처리 절차서
📌 Tip: 유링파워 같은 시스템에서 템플릿 기반으로 작성하면, 각 문서를 중복 없이 여러 규제에 재사용 가능.
④ 기술·조직적 조치(TOMs) 구현
GDPR Art. 32 및 ISO 27701 Annex A/B에서 요구하는 보안 통제 적용:
기술적: 데이터 암호화, 접근권한 최소화, 로그 모니터링, 침입탐지
조직적: 역할·책임 정의, 교육, 내부 감사, 공급망 보안 요구사항 반영
⑤ 교육·인식 제고
연 1회 이상 개인정보 보호·GDPR 준수 교육
침해사고 대응 훈련(모의훈련, Incident Simulation) 실시
신규 입사자 온보딩 시 개인정보보호 서약 필수
⑥ 내부 심사 및 인증 심사
내부 심사: ISO 27701 요구사항 충족 여부 자체 점검
외부 심사: 공인 인증기관에서 Stage 1(문서 검토) → Stage 2(운영 검증) 진행
인증 주기: 3년(매년 사후심사 필요)
ISO 27701과 GDPR 동시 준비 시 이점
문서·절차 중복 제거 → 준비 기간 30~40% 단축
감사·심사 대응 효율화 → 동일 문서를 여러 규정에서 사용
글로벌 거래 신뢰도 확보 → EU·미국·아시아 고객사와 계약 장벽 완화
법률·표준 변경 대응 용이 → 유링파워와 같은 자동 업데이트 플랫폼 활용 시 실시간 반영 가능